본문 바로가기
자유로운 주제

중국어 기초학습 ② - 한자를 쉽게 공부하기 위한 육서의 이해

by 중역문 2022. 6. 18.
728x90
반응형

https://chinestory.tistory.com/5

 

중국어 기초학습 ① - 한자(간체자)의 이해

중국어를 학습할 때 학습자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부분이 한자에 대한 부담이다. 불행 중 다행인 것은 우리나라가 한자문화권이어서 기초적인 한자는 어려서 깨우친다는 점이다. 또한, 상당수의

chinestory.tistory.com

지난 포스팅에서 중국어와 한자의 이해라는 주제로 

개괄적인 학습을 진행해보았다.

이와 더불어 중국어를 학습할 때는 발음과 한자를 별개로 공부하면 좋다고 이야기했다.

그렇다면 한자를 공부할 때 조금 쉽게 공부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앞선 시간에서 이야기했지만 한자는 표의문자로 뜻을 표기한 글자다.

반대로 생각하면 글자를 보면 그 뜻을 유추할 수 있다는 말이다.

하나의 한자를 예로 들어 설명해보겠다.

抓(긁을 조)라는 단어는 손이 두 개가 조합된 글자다.

따라서 긁다라는 뜻 이외에도 잡다, 집다, 움켜쥐다의 뜻이 있다.

일단 手(손 수)가 있다면 손으로 하는 무언가라고 짐작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는 한자를 암기해야 공부할 수 있지만

암기 이전에 한자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고,

육서(六書)에 대한 이해 없이는 한자를 온전히 이해할 수 없다.

 

육서의 이해

육서란 한자를 만들어낸 여섯 가지의 원리를 뜻한다.

한자가 제 아무리 많다고 해도 이 육서의 원리를 벗어나는 한자는 없으며

육서를 이해하면 어려운 한자도 조금은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다.

육서는 상형, 지사, 회의, 형성, 전주, 가차의 6가지 원리가 있으며

중국어를 공부할 때는 그중 90%를 차지하는 형성의 원리가 가장 중요하다.

 

상형

상형문자는 사물의 모양을 본떠서 만든 글자로

한자를 만들어내는 가장 기본적인 원리다.

모양을 본 떠서 만들어낸 글자다.

출처: 바이두 이미지

태양, 달, 물, 불, 흙, 소, 양 

말그대로 보이는 그대로의 모습을 본 떠 만들어낸 문자가

긴 시간이 흘러감에 따라서 오늘날 사용하는 한자의 모습을 띠게 되었다.

출처: 바이두 이미지

우리가 익히 알고 있던 사람 인, 새 조 등 한자가

원래는 저렇게 사람과 새의 모습을 본 떠 만들어 낸 문자라는 게

신기하지 않은가?

그래서 한자 학습을 시작하게 된 사람들에게

가장 먼저 한자의 기본 부수 214개를 학습하도록 권한다.

한자 부수는 위와 같이 상형의 원리로 조자된 한자가 상당 수다.

그래서 한자 부수를 알면 그 한자가 보인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보인다기보다는 유추해낼 수 있다.

 

지사

지사의 원리는 추상적인 개념을 점, 선, 부호 등으로 표현해낸다.

상형문자는 말 그대로 구체적인 모습을 본 떠 만들어내지만,

지사는 모습을 띄지 않는 추상적인 개념을 만들어낸 원리다.

'위', '아래' 와 같은 방향적인 개념은 모습을 본 뜰 수가 없는데

대신 선이나 점으로 이를 표현해낸 원리라고 볼 수 있다.

출처: 바이두 이미지

위 상과 아래 하의 경우 지사의 원리로 만들어낸 한자다.

 

회의

회의의 원리는 會(모을 회) + 意(뜻 의) 로

뜻을 모아 새로운 한자를 만들어내는 원리다.

休(쉴 휴) 한자는 人(사람 인) + 木(나무 목)

사람이 나무에 기대어 쉰다는 의미를 만들어낸 것이다.

鳴(울 명) 한자도 口(입 구)와 鳥(새 조)가 결합된 한자로

새가 울다라는 의미의 한자가 만들어진 것이다.

출처: 바이두 이미지

형성

형성의 원리는 중국어를 학습할 때 가장 중요한 원리다.

한자 중 8~90%가 이 형성의 원리로 조자가 되었다.

뜻을 나타내는 글자와 음을 나타내는 글자가 결합한 글자로

처음 보는 한자도 그 발음을 대략적으로 유추해낼 수 있다.

한자를 분석했을 때, 하나의 한자는 뜻을 내포하고

또 하나의 한자는 발음적 유사성을 지닌 경우가 많다.

忙(바쁠 망) 한자는 

心(마음 심)과 亡(망할 망, 없을 망)이 결합된 한자다.

앞 부분 부수는 마음 심이 부수로 사용될 경우 사용되는 한자다.()

직역하면 마음이 없다는 뜻이 되고,

의역하면 바쁘다는 뜻이 된다.

 

앞 한자를 보고 뜻을 유추할 수 있지만

뒤에 있는 亡 한자를 보고 

망 또는 망과 유사한 발음이 되겠구나 유추할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