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유로운 주제

한자의 부수 ③ - 변형된 부수 정리 및 한자 뜻 풀이 2탄

by 중역문 2022. 6. 25.
728x90
반응형

지난 시간 변형된 부수를 정리하면서

부수를 활용하여 한자 뜻 풀이를 진행했다.

이번 시간에는 이어서 부수를 활용한 뜻 풀이를 진행하기로 하겠다.

지난 시간에 배웠던 변형 부수는

사람 인, 칼 도, 마음 심, 물 수, 불 화, 손 수, 손톱 조로

총 일곱 가지의 부수가 어떻게 변형되는지 알아보고

또 여러 가지 한자를 예시를 통해 뜻 풀이해보았다.

이번 시간에도 이어서 변형된 부수에 대해서 학습해보고

예시 한자를 통해 그 뜻을 풀이해보도록 하겠다.

 

개 견(犬)

개 견은 변형 부수로 사용될 때 아래와 같이 변형된다.

犬 → 犭

猪, 猫

부수가 글자 왼쪽에 있는 경우이기 때문에 변에 해당하는 부수다.

따라서 모르는 글자를 보더라도 앞에 변 위치에 개 견이 포함되어 있다면

짐승이나 가축, 동물 등 의미를 내포할 확률이 아주 높겠다고 유추해낼 수 있다.

 

예시로 적은 두 한자는 각각

돼지 저, 고양이 묘 한자다.

 

풀 초(草)

풀 초는 변형 부수로 사용될 때 아래와 같이 변형된다.

草 → 艹

花, 苦

부수가 글자의 머리에 위치한 경우로 풀 초머리라고도 한다.

풀이나 꽃, 식물과 관련된 한자겠거니 유추해낼 수 있다.

예시로 적은 두 한자는 각각

꽃 화와 괴로울 고 한자다.

 

괴로울 고 한자는 원래 쓰다라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인생이 쓰다' 는 말은 다시 말해서 '인생이 괴롭다. 고달프다.'와 같은 의미라고 볼 수 있다.

풀을 뜯어 먹어본 적은 없지만

풀 맛이 굉장히 쓰지 않을까 하고 생각해본 적은 있다.

그래서 풀이 쓰다라는 의미에서부터 지금의 괴롭다는 의미로 확대하여 사용하지 않았을까

합리적인 의심을 해본다.

 

고을 읍(邑)

고을 읍은 변형 부수로 사용될 때 아래와 같이 변형된다.

邑 → 阝

都, 鄕

바로 아래에 적을 언덕 부(阜) 한자와 형태적으로 굉장히 유사하지만

고을 읍은 오른 쪽에 부수가 위치하는 방에 해당하며

언덕 부는 왼 쪽에 부수가 위치하는 변에 해당한다.

고을 읍이 들어간 한자는 행정구역에 해당하는 한자가 많다.

예를 들어 도읍 도(都), 시골 향(鄕)은 모두 고을 읍이 부수로 활용된 한자다.

 

언덕 부(阜)

언덕 부는 변형 부수로 사용할 때 아래와 같이 변형된다.

阜 → 

限, 降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고을 읍과의 차이는 부수가 변으로 사용되는지

방으로 사용되는지를 보면 된다.

형태는 유사하지만 변으로 사용되었는지, 방으로 사용되었는지에 따라서

의미가 달라지기 때문에 유의해야 한다.

언덕 내지는 절벽의 의미를 떠올리면 좋다.

예시로 적은 한자는 각각

한정할 한(限), 내릴 강(降)이다.

언덕이나 절벽까지가 그가 활동할 수 있는 영역일 것이다.

그래서 해당 영역까지만 제한하고 한정할 수 있고,

그 범위를 벗어나면 그는 언덕에서 떨어져 내릴 것이다.

 

칠 복(攴)

칠 복은 변형 부수로 사용할 때 아래와 같이 변형된다.

攴 → 攵

원래 이 복이라는 글자는 막대기에서 파생된 글자다.

글자의 모양만 보더라도 막대기가 떠오른다

예시로 적은 한자는 칠 목(牧) 한자이다.

소 우(牛)와 칠 복(攵) 두 가지 한자가 결합되었다.

소를 막대기로 친다는 의미는 다시 말해서

소를 키우고 소를 치는 것으로 소를 키우다라는 의미도 된다.

목동(牧童)은 소를 키우는, 소를 치는 아이다.

 

구슬 옥(玉)

​구슬 옥 한자를 변형 부수로 사용하면 아래와 같이 된다.

玉 → 王

珍珠

임금 왕 한자와 동일한 형태인데,

구슬 옥이 부수로 쓰이면 임금 왕과 같은 형태가 된다.

따라서 이 한자가 들어가면 구슬 내지는 보석류를 떠올리면 된다.

예시로 적은 한자는

진주(珍珠)다.

보배 진과 구슬 주가 합쳐진 한자가 된다.

 

고기 육(肉)

고기 육 한자는 변형 부수로 사용되면 아래와 같이 된다.

肉 → 月

肥, 脂

구슬 옥 한자가 임금 왕의 형태로 변형된 것처럼

고기 육이 부수로 쓰이면서 달 월로 변형되어 사용된다.

고기 육(肉) 한자는 고기의 마블링을 떠올리면 된다.

출처: 네이버 뉴스

고기 육이 부수로 사용된 한자는

주로 신체부위나 고기덩어리를 뜻한다.

예시로 쓴 한자는 살찔 비와 기름 지다.

기름진 고기를 먹으니 당연히 살이 찔 것이다.

비만할 때 비 자가 바로 이 살찔 비(肥)다.

 

기름 지(脂)는 지방할 때 그 지다.

고기를 먹으면 쌓이는 게 지방이지 않은가.

 

늙을 로(老)

늙을 로 또는 노인 로로 사용되는 글자다.

의외로 갑골문에 기재되었던 한자다.

모양을 본 떠 만든 한자라는 소리다.

출처: 바이두

지팡이를 쥐고 있는 꼬부랑 할아버지의 모양이다.

출처: 바이두

늙을 로 한자를 보면 노인을 떠올리면 된다.

효도 효(孝) 한자는 풀어 보면

노인과 아들이 보인다.

아들이 노인을 업고 있는 모습을 통해

효도하다라는 의미가 파생되었음을 알 수 있다.

반응형